목차
추석이나 명절(설), 제사 차례상에 축문과 함께 올리는 제사 지방 쓰는 법에 대해 간단히 작성해 보겠습니다.
본래 한자로 쓰는 것이 전통이지만, 현대에는 한글로도 많이 작성합니다.
지방이란?
지방은 *신주가 없을 때 임시로 만들어 놓는 *위패이다.
*신주: 고인의 위(위치, 자리)를 베푸는 '나무패'를 말한다. *위패 또는 목주라고도 한다.
하지만, 신주와 위패가 같다는 뜻은 아니며, 신주 대신 약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위패(지방)라고 한다.
지방을 쓰는 이유
신주는 *사당에 자리하고 있어야 하지만, 현대에는 사당을 따로 마련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지방(위패)을 사용하는 것이다.
*사당: 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은 집
지방 규격
형태: 흰색 한지 또는 깨끗한 창호지나 백지를 사용.
(지방의 윗부분을 접거나 잘라서 둥글게 하고 아래는 편평하게)
규격: 가로 6cm / 세로 22cm
지방 쓰는 법
지방(종이) 위에는 고인과 *제주의 관계, 고인의 직위와 성함 마지막으로 '신위(神位)'라고 적으면 됩니다.
*제주: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
고인과 제주와의 관계 | |||
---|---|---|---|
아버지 | 고(考) | 어머니 | 비(妣) |
조부모 | 조고(祖考) 조비(祖妣) |
증조부모 |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 |
형 | 현형(顯兄) | 동생 | 망제(亡弟) |
※ 지방 작성 시 앞에 나타날 현(顯)을 붙여 사용한다. 예) 현고(顯考) / 현조비(顯祖妣) / 현증조고(顯曾祖考) |
|||
<이 외 관계 더 보기> |
고인의 직위
남자 조상
- 벼슬을 한 경우: 벼슬의 이름
- 벼슬을 안 한 경우: 학생(學生)
현대에서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돌아가신 분이 남성인 경우 모두 학생(學生)으로 쓴다고 합니다.
여자 조상
(본래 남편의 벼슬에 따라 정해졌다.)
-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유인(孺人)이라 쓴다.
고인의 성함
- 남자 조상의 경우: 부군(府君)
- 여자 조상이나 아내의 경우: 본관과 성씨(김해 김 씨 등)
- 자식이나 동생의 경우: 이름
신위
마지막으로 고인의 영혼이나 신령이 머무는 자리라는 뜻으로 '신위(神位)'라 쓰며 마무리하면 된다.
예시)
부모 지방 쓰는 법
(제사를 지내는 게 한 분일 경우 지방 가운데 작성 / 두 분 일 경우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작성)
(순서는 위에서 아래로)
위에서 말한 것처럼 고인과의 관계▶고인의 직위 ▶고인의 성별(남, 여) ▶신위(神位), 이 순서대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예) 아버지의 제사일 경우:현고(顯考), 학생(學生), 부군(府君), 신위(神位)
<관련 글>
'울산정보통 > 제례(제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주교 제사 지내는 법 및 기독교 제사 방법 (0) | 2023.10.11 |
---|---|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 상차림 (0) | 2023.10.10 |
제사와 차례의 차이 기제, 차례, 묘제 (0) | 2023.10.03 |
축문 쓰는 방법 및 읽는 법 (1) | 2023.10.03 |
삼우제란? 날짜 계산은 어떻게? (1) | 2023.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