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울산정보통/제례(제사) 정보

제사 절 횟수 & 손 방향

by 울산청년 2025. 5. 2.

목차

    제사 절 횟수는 몇번? 손 방향은 어떻게?

    제사 절 횟수

    가장 기본적으로 제사를 지낼 때 절 횟수는 2번입니다. 흔히 산 사람에게는 1번, 죽은 사람이나 신(영)적인 존재에게는 2번 혹은 그 이상을 하죠. 추가로 "삽시정저 후 남자는 2번(재배), 여자는 4번(사배)을 해야 한다."라는 말이 있어 성별에 따라 몇 번을 해야 하는 것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먼저 저희 집안의 경우 제사는 남자들만 지내고 여자들은 음식만 준비 후 함께 제사를 지내지는 않습니다. 가끔 참여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따로 절을 몇 번 더 하는 경우는 보지 못했습니다.

    예부터 정해진 기준이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지역마다 집안마다 다르지 않을까 싶으며 어른들이 하시던 방식을 그대로 따라가는 게 맞지 않나 생각합니다.

    제사 절 횟수제사 절 손 위치
    제사 절 횟수

    제사 절 손 방향

    명절에 지내는 제사(기제사, 묘제, 차례 등)에서 절을 할 시, 손 방향은 남자는 왼손이 위로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오게 합니다. 반대로 장례식장에서 절을 할 경우에는 남자는 오른손, 여자는 왼손이 위로 오게 하면 됩니다.

    제사 절 횟수와 손 방향은 어떻게?
    제사 절 손 방향

    절하는 방법 및 순서

    절하는 방법 및 순서는 아래 영상으로 대체하겠습니다. (남자 02분 45초부터 /  여자 5분 0초부터)


     

    장례식장 문상 예절 조문 순서, 옷차림, 절하는 법과 주의할 점

    살면서 인간관계를 맺다 보면 반드시 가게 되는 장소가 있다, 그중 하나인 장례식장이다. 처음으로 가는 분들도 있을 것이고, 자주 가는 일은 드문 일이니 헷갈리지 않고 이해하기 쉽게 문상 예

    forseazon.com

     

    성묘 음식과 준비물은 간단히 - 사이트

    한자 省 (살필 성), 墓(무덤 묘)를 사용하여 무덤을 살피다는 뜻입니다. 간단히 명절에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내는 것을 말하며, 예부터 이어져 온 풍습이라 볼 수 있는 의식입니다. 이 사

    select-helpers.com

     

    추석,명절 제사 지낼 때 병풍 놓는 방향 과 이유

    추석과 명절 차례(제사) 지낼 때마다 등장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병풍입니다. 일 년에 몇 번 사용하지는 않지만, 제사 때마다 병풍을 놓는 이유와 방향 그리고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forseaz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