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묘,묘지,산소,무덤 방문 시 가져가면 좋은 꽃 종류와 꽃말
명절(설날, 한식, 단오, 추석)이 되면 조상의 산소에 방문하는 일이 더러 생깁니다. 집안마다 다르겠지만, 묘에 가져갈 꽃(꽃다발)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해 산소에 가져가면 좋은 꽃들의 종류와 의미(꽃말)를 몇 가지만 정리해 보겠습니다. [출처: 네이버 카페 '조경커뮤니티'] 먼저, 가장 좋은 꽃은 생전에 고인/조상님이 좋아하셨던 꽃(花)입니다. 하지만, 모르거나 없으신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국화를 주로 사용합니다. 꽃을 드리는 이유 제가 이해한 '꽃을 드리는 이유'는 세상을 떠난 사람들에 대한 기쁨, 슬픔, 추억, 사랑과 존경, 명예와 경의 등 이러한 의미가 있는 마음을 꽃에 담아 표현하는 작은 표시일 뿐입니다. 산소 주위에 꽃을 심거나 꽃다발을 가져가는 것에는조상/고인을 추모하기 위함도 있지만, 어둡..
2024. 3. 20.
무당이 말하는 산소에 절대 가져가면 안되는 음식!
산소에 가져가면 안 되는 음식.일반적으로 삼색 과일(사과, 배 등), 포, 술, 떡 등 이외에도 조상님이 생전에 좋아하신던 음식들을 가져가기도 합니다.그런데 잘못 들고 갔다가 부정을 탈 수 도 있다는 음식들이 있는데, 과연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산소에서 제사 지내는 법 및 음식 준비처음 성묘를 하시는 분들을 위해 산소에서 제사 지내는 법과 음식 준비는 어떻게 하는지 제가 경험했던 것들을 포함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산소에서 제사(forseazon.com 지역별 상차림 서울,경기도,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강원도, 제주도지역별 상차림이 조금씩 다르다고 알고 있는데요, 기본적으로 통일된 상차림은 있지만 각 지역별 특산물, 흔한 식재료를 이용한 음식으로 인한 차이가 있습니다..
2024. 3. 7.
제사상과 제사를 지내는 방향은?
제사상을 차리고 제사를 지내는 방향과 같이 저 또한 그렇고 크게 신경 써보지 않은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누군가는 방향이 정해져 있다고 하며 또 누군가는 방향은 중요하지 않다고 합니다. 그래서 여러 정보들을 간략하게 요약해 보았으니, 한번 쓱 훑어보시고 가세요! 제사 지내는 방향, 꼭 정해야 할까? 방향을 정해야 한다는 의견 제사의 종류(제사와 차례/고사와 기도)와 띠(범띠, 토끼띠, 쥐띠 등) 별로 구분해야 한다고 합니다. 제사, 차례, 묘제 이 셋의 차이는? 제사, 차례에는 천살 방향 / 고사, 기도에는 육해살 방향 원숭이, 쥐, 용띠는 남서 방향 / 범, 말, 개띠는 북동 방향 등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영상으로 남기겠습니다. 차례 방향 방향은 정해진 것도 없고, 중요..
2024. 2. 6.
[각종 경조사] 부조금 (부의금, 축의금 등) 봉투 이름 쓰는 법
살다 보면 결혼식, 장례식, 개업식(창립식)과 같은 곳에서, 부의금·축의금 등의 봉투에 글(한자)을 쓰는 일이 생깁니다. 간단하게 2~3가지 정도만 알아 두시면 됩니다. 축의금, 부의금 봉투 직접 쓰기 (한자/위치/뜻) - 사이트살다보면 경조사에 갈 일이 생깁니다. 결혼식이라면 축의금, 장례식이라면 부의금 등 또한 개업식이나 창립식, 병문안 등 여러 상황이 있습니다. 이 때 봉투에 작성해야 하는 이름, 소속, 한자select-helpers.com ☑️ 부조금(축의금, 부의금, 조의금)의 종류"부조금"은 축의금, 부의금, 조의금 등 각종 경조사들을 합친 단어입니다.(정확히는, 잔칫집이나 상가 따위에 돈이나 물건을 보내 도와주는 것을"부조금"이라 합니다.)※ 상황이나 각 집안의 전통에 따라 쓸 수 있는 ..
2024. 1. 25.
각 나라별 새해, 명절, 전통 음식
한국의 4대 명절(설날, 단오, 추석, 한식) 중 하나인 설날(새해)이 되면 늘 먹게 되는 음식인 떡국과 같이, 각 나라별로 먹는 새해 음식 또는 전통 음식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소개하는 음식들이 "그 나라의 떡국이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Menu (전 세계 각 나라별 신년 or 전통 음식) 1. 대한민국의 새해 음식, 떡국 "떡국"은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새해 첫날에 먹게 되는 음식입니다.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기 위한 음식이며, 떡국을 먹음으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말도 있습니다. 떡국의 주재료 가래떡의 형태를 길고 가늘게 만드는 이유에 무병장수를 비는 뜻이 담겨 있다. 2. 일본의 새해 음식, 오세치(おせち) & 오조니(お雜煮) ● 일본의 최대 명절: 오쇼가쓰(お正月, 정월) "오세치(おせち)"는..
2024. 1. 19.
시산제 축문, 상차림, 인사말, 순서, 뜻 Let's Go
산악인들은 남들보다 제사가 한번 더 있다고 한다.모든 산악인, 산악회가 하는 행사는 아니지만 대부분 시산제를 중요하게 여기며 등산하기 좋은 시기가 되면(보통 3월부터) 축제처럼 모여 행사를 진행한다.그게 바로 시산제(산신제)이다. 시산제가 처음이신 분들을 위해 시산제 순서, 상차림, 축문 및 인사말 등 간단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 시산제 행사는 보통 산악회에서 주관하여 진행하는데, 미리 시산제를 지내기 좋은 산 또는 원하는 곳을 선정해 장소를 정한 후 등산 시간, 산악 코스, 준비물(음식, 술 등), 행사 진행자 등을 선정 및 계획합니다. 인원도 수십 명 수백 명 산악회의 규모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 시산제 뜻: 먼저 시산제의 뜻은 산을 좋아하는 사람들, 산악인들이 산을 보호하는 신(산신령)에게 ..
2023. 12. 2.
옥춘 사탕 또는 옥춘당이라 불리는 제사 사탕?
집 집마다 다르겠지만, 제사, 돌잔치, 결혼식, 회갑·환갑잔치 등 잔치·제사상에 올라오는 알록달록한 사탕을 본 적이 있으실 텐데요. 이 사탕을 옥춘 사탕 또는 옥춘당이라 부른다고 합니다. 이 제사 사탕의 재료와 만드는 방법, 유래 등 간단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옥춘 사탕이란? 옥춘당(옥춘 사탕) 또는 옥춘(玉春)은 쌀가루와 엿을 섞어 만든 바탕에 색소로 알록달록한 색동을 들여 만드는 한국의 전통 사탕류 전통과자입니다. 제사, 돌잔치, 결혼식, 회갑·환갑잔치 등 큰 잔치 행사에 자주 등장하는 음식입니다. 옥춘 사탕, 옥춘당의 재료는 설탕, 쌀가루, 엿입니다. 다른 재료들을 추가하여 만든 깨옥춘, 박하 옥춘, 옥춘 알사탕, 젤리 등 여러 맛이 있다. 옥춘사탕의 유래 정확히는 옥춘당 또는 옥춘이라고 부르며 옥..
2023. 11. 14.
지역별 상차림 서울,경기도,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강원도, 제주도
지역별 상차림이 조금씩 다르다고 알고 있는데요, 기본적으로 통일된 상차림은 있지만 각 지역별 특산물, 흔한 식재료를 이용한 음식으로 인한 차이가 있습니다. 지금부터 서울/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까지 총 6 지역의 제사상차림을 간단히 소개해보겠습니다. 서울/경기도 제사 상차림 서울과 경기도 상차림 1열 잔, 밥, 국, 지방, 밥, 국, 잔 2열 육전, 육적, 소적, 어적, 어전, 떡 3열 육탕, 소탕, 간장, 어탕, 북어적 4열 포, 삼색나물, 김치, 식혜 5열 대추, 밤, 배, 감, 사과, 한과 등 서울 제사상의 특징은 간소화한 상차림이라고 하며, 닭고기를 올리는 대신 배추를 고명으로 넣은 녹두전이 올라갑니다. 경기지역의 상차림 특징은 고기와 떡이 많이 올라가는 편입니다. 대신..
2023. 10. 17.